2025년 조기 대선(6월 3일)이 다가오면서 4050세대의 최대 관심사는 단연 안정적인 노후 준비입니다. 중장년층이 평생 납부해온 연금이 과연 미래에도 충분한지, 국민연금 개혁, 퇴직연금·IRP 활용, 기초연금 확대 등 후보들의 공약을 면밀히 비교해야 할 시기입니다.
본 글에서는 윤곽이 뚜렷해진 2025 조기 대선의 주요 후보별 연금·노후 대비 공약을 국민연금 개혁안, 퇴직연금·IRP 지원, 기초연금 확대 세 분야로 나누어 분석합니다. 투표 전 꼭 확인해야 할 실생활 활용 팁과 노후 자산 증식 전략을 제공합니다.
1. 국민연금 개혁 공약 비교
1-1. 이재명 후보의 국민연금 강화 방안
이재명 후보는 연금 보험료 상한 확대과 기여율 단계적 인상을 통해 향후 수급액을 평균 20% 이상 높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또한 국민연금공단 의 소득 대비 연금 수령액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전면 개편해, 납부자들이 미래 수령액을 더욱 정확히 예측할 수 있도록 개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국민연금공단
54870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기지로 180 (만성동, 국민연금) ⓒ nps.or.kr. All Rights Reserved.
www.nps.or.kr
- 주요 내용:
- 연금 보험료 상한 인상: 월 200만원 → 300만원
- 기여율 단계적 인상: 현행 9% → 최대 15% (2030년까지)
- 연금 수령 시 소득대체율 상향 (기존 40% → 목표 50%)
- 국민연금 수익률 개선을 위한 기금운용 개편
1-2. 한동훈 후보의 국민연금 안정화 전략
한동훈 후보는 기초연금 연계 수급 구조를 도입하여 저소득 계층 연금 수급자의 최저수준을 보장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특히 단계적 보험료 삭감을 통해 납부자의 부담을 줄이며, 연금 지급 시점 조정으로 재정 안정성도 함께 확보하겠다는 방침입니다.
- 주요 내용:
- 기초연금 연계: 소득 하위 70% 확대 적용
- 연금 지급 개시 시점 조정: 65세 → 67세 (2035년까지 단계적 적용)
- 연금 지급액 최저 보장 제도 도입
- 저소득층 수급액 인상 및 급여 계산 방식 개편
2. 퇴직연금·IRP 지원 확대
개인형 퇴직연금(IRP) 및 기업형 퇴직연금(DB·DC)의 활용 확대는 4050세대 은퇴 자산 증식의 또 다른 핵심 요소입니다.
2-1. 이재명 후보의 퇴직연금 정책
이재명 후보는 퇴직연금 세액공제 한도 상향(연 700만원 ⇒ 1,200만원)을 제안했고, IRP에서 발생한 투자 수익에 대한 과세 이연 혜택을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주요 내용:
- 퇴직연금 세액공제 한도 상향 (연 700만원 → 1,200만원)
- IRP 계좌 활성화를 위한 소득공제 확대
- 중소기업 근로자 연금 가입 장려 지원
2-2. 한동훈 후보의 IRP·퇴직연금 지원 방안
한동훈 후보는 중소기업 근로자 IRP 자동가입을 추진하고, 국가 보조금 형태로 연간 최대 200만원까지 입금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금융감독원 IRP 안내 자료를 통해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5년 최신] IRP 세액공제 한도 총정리 – 최대 공제받는 법 & 절세 전략 완벽 가이드
- 주요 내용:
- IRP 자동가입 제도 도입 (2026년 시행 목표)
- 근로자 자율 선택형 퇴직연금 제도 확대
- 퇴직연금 수익률 개선을 위한 투자 옵션 다양화
3. 기초연금 확대와 재원 조달 방안
기초연금은 사회보험 사각지대에 놓인 고령층의 최저소득을 보장하는 최후의 안전망입니다. 이재명 후보는 기초연금 상향(월 30만원 ⇒ 45만원)을 공약했으며, 한동훈 후보는 소득하위 70% 확대 지급을 통해 더 많은 어르신에게 혜택을 주겠다고 밝혔습니다.
- 주요 내용:
- 기초연금 지급액 상향 (월 30만원 → 45만원)
- 지급 대상 확대 (소득 하위 70% → 80% 목표)
- 기초연금 기금 운용 수익률 개선
- 저소득층을 위한 추가 지원금 도입
결론 및 4050세대 투표 가이드
2025 조기 대선에서 4050세대의 선택은 연금 개혁과 노후 대비 정책의 실효성을 최우선 기준으로 삼아야 합니다. 아래 체크리스트를 통해 공약을 최종 점검하세요.
- ☑️ 국민연금 기여율·수급액 인상 안 확인
- ☑️ 퇴직연금·IRP 세액공제 및 보조금 혜택
- ☑️ 기초연금 지급액 및 대상 확대 여부
- ☑️ 개인 노후 자산 배분 전략 검토
🗳️ 투표일: 2025년 6월 3일
🗳️ 사전투표: 2025년 5월 29~30일
🔗 투표소 위치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