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최신] 청년을 위한 정부 지원금 총정리 – 최대 1,200만 원까지 받는 방법

by 골드v 2025. 4. 8.

2025년에도 여전히 이어지는 청년층의 경제적 어려움을 정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일자리 제공을 넘어서 주거비, 근로 보조금까지 확대된 정책은 청년 개개인의 삶의 질을 직접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실질적인 기회가 됩니다.

청년지원 한번에 확인하기

이제는 단순히 "지원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언제, 어떻게, 무엇을 통해 받을 수 있는지"를 아는 것이 진짜 정보력입니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고용노동부

지속가능하고 미래지향적인 노동시장 구축 일자리 기회는 확대하고 일터 문화는 혁신 노동의 가치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겠습니다. 이전 슬라이드 다음 슬라이드 자동 넘김 정지 자동 넘김 재

www.moel.go.kr

 

💡 기업도, 청년도 혜택 받는다!

청년을 정규직으로 고용한 기업에게는 최대 720만 원, 청년 본인에게는 480만 원을 지급하는 파격적인 제도!

✅ 지원 대상 및 조건

청년 요건: 만 15세 ~ 34세 이하의 취업 애로 청년 (4개월 이상 실업 상태 등 조건 해당자)

기업 요건: 5인 이상 중소기업으로 청년을 정규직 채용 후 6개월 이상 고용 유지

✅ 지원 내용

기업: 채용 청년 1인당 최대 월 60만 원 × 12개월 = 720만 원

청년: 해당 기업에서 18개월 이상 근속 시 480만 원 지급

✅ 신청 방법

◾ 고용노동부 '고용24' 누리집 접속

◾ 사업장 주소지에 해당하는 운영기관 찾기

◾ PC로만 신청 가능 (모바일 신청 불가)

고용노동부 2025 최신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안내 바로가기

청년 월세 지원금 – 월 20만 원씩, 최대 1년까지 지원!

💡 서울 기준 월세 평균이 40만 원이 넘는 지금, 월 20만 원의 지원은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주거 안정 효과를 줍니다.

복지로에서 혜택을 확인하세요.

✅ 지원 대상

연령 조건: 만 19세 ~ 34세

소득 요건:
• 개인 소득: 중위소득 60% 이하 (약 월 125만 원 수준)
• 가구 소득: 중위소득 100% 이하 (4인 기준 약 540만 원)

주거 요건:
•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의 임대차 계약
• 부모와 따로 거주해야 하며, 임대차 계약이 본인 명의여야 함

✅ 지원 금액

월 최대 20만 원 × 12개월 = 240만 원 지원

✅ 신청 방법

온라인: 복지로 또는 청년포털에서 신청

방문: 주민센터(읍/면/동)에서 서류 제출

청년 월세 지원금 신청하기 

근로장려금 & 자녀장려금

💡 저소득 청년의 숨통을 트이게 하는 실질적인 보조 정책!

알고 보면 '무조건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금! 적은 소득이라면 꼭 확인하세요.

✅ 신청 자격

근로장려금:
• 연간 총소득이 단독가구 기준 2,200만 원 미만
• 재산이 2억 원 미만

자녀장려금:
• 부양자녀가 있는 경우 지급
• 연 소득 기준과 재산 기준 충족 시 가능

✅ 지원금액

근로장려금: 최대 330만 원

자녀장려금: 자녀 1인당 최대 80만 원

✅ 신청 방법

◾ 국세청 홈택스 또는 손택스 앱으로 간편 신청

◾ 전화(1544-9944) 또는 우편 신청도 가능

2025년 정기 신청은 5월부터 시작 예정

근로장려금 자세히 보기

2025년 청년지원금 캘린더 정리

지원 항목 지원 금액 신청 시기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최대 1,200만 원 상시접수
청년 월세 지원금 최대 240만 원 지자체별 신청 일정 상이
근로·자녀 장려금 최대 410만 원 2025년 5월 예정

 

지금이 ‘지원받을 타이밍’입니다.

✔️ 지금 시점은 2025년 상반기 정책들이 본격 시행되는 시기입니다.
✔️ 특히 위의 정책들은 중복 신청도 가능한 경우가 많아, 청년이라면 본인의 자격을 확인하고 최소 2~3개의 지원을 동시 신청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정책은 알고 있는 사람만이 누릴 수 있습니다.
이 글 하나로도 충분히 정보를 얻었다면, 바로 지금 신청하세요.

청년정책 종합포털 '청년정책ON' 바로가기